이전 글에서 유니코드Unicode와 UTF-8을 살펴봤습니다. 유니코드는 추상적인 문자와 코드 포인트code point 사이의 매핑으로, UTF-8는 코드 포인트와 코드 유닛 시퀀스code unit sequence 사이의 매핑으로 볼 수 있었습니다. 또한 유니코드는 내부적으로 플레인plane 단위로 코드 포인트를 관리합니다.
코드 유닛이란 인코딩 시 기본적인 길이로 삼는 비트 길이인데요. UTF-8는 8비트의 코드 유닛으로 인코딩 하고, 필요에 따라 하나에서 네 개까지의 코드 유닛을 사용했었습니다.
UTF-16 인코딩은 기본 단위가 16비트일 뿐 전체적인 방식은 UTF-8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UTF-32 또한 그렇고요. 이번에도 인코딩과 디코딩 함수를 구현해보며 구체적인 인코딩 방식을 알아보겠습니다.
서로게이트 블록
UTF-16 구현에 앞서 언급할 것이 있습니다.
첫 번째 플레인 BMP에는 서로게이트surrogate 블록이라고 불리는 코드 포인트가 있는데요. 사실 여기에는 문자가 할당되어 있지 않고, 16비트 코드 유닛을 두 개 사용할 것이라는 신호로 사용됩니다.
UTF-16 인코딩은 이를 이용합니다.
16비트를 넘어가는, 즉 U+FFFF
를 넘어가는 코드 포인트를 인코딩하기 위해서요.
UTF-16 인코딩 만들기
이전 글에서, 유니코드를 문자와 코드 포인트 간의 대응 관계로 보았습니다. 그리고 코드 포인트를 비트 표현으로 매핑하는 방법을 인코딩이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UTF-16 인코딩은 코드 포인트를 16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면, 그 이진 표현binary representation을 그대로 인코딩해 하나의 코드 유닛을 만듭니다. 그렇지 않고 16비트를 넘어간다면, 두 개의 코드 유닛에 나눠 담습니다. UTF-8에서 여러 개의 코드 유닛을 썼던 것처럼요.
두 개의 코드 유닛이 필요한 경우, 코드 포인트의 21비트를 적절히 세 부분으로 나누어 인코딩합니다. 이 두 코드 유닛을 서로게이트 페어surrogate pair라고도 부릅니다. 그 중 첫 번째 것을 하이 서로게이트high surrogate, 두 번째를 로우 서로게이트low surrogate라고 합니다.
수도코드 및 구현
UTF-16 인코딩을 수도코드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UTF-16 인코딩 (코드 포인트)
만약 코드 포인트가 21비트 이하 값이면
x xxxx yyyy yyzz zzzz zzzz 코드 포인트의 이진 표현
리턴 바이트 시퀀스 1101 10ww wwyy yyyy 1101 11zz zzzz zzzz리턴 U+FFFD
이는 다음과 같이 C++로 간단한 비트 조작을 통해 구현해볼 수 있습니다.
typedef uint32_t Codepoint;
void encodeUtf16(const Codepoint cp, char16_t *buf) {
bool within_16bits = cp < (1 << 16);
if (within_16bits) {
buf[0] = cp;
buf[1] = '\0';
return;
}
bool within_21bits = cp < (1 << 21);
if (within_21bits) {
Codepoint x = (cp & 0b1'1111'0000'0000'0000'0000) >> 16;
Codepoint y = (cp & 0b0'0000'1111'1100'0000'0000) >> 10;
Codepoint z = (cp & 0b0'0000'0000'0011'1111'1111);
Codepoint w = x - 1;
buf[0] = 0b1101'1000'0000'0000 | (w << 6) | y;
buf[1] = 0b1101'1100'0000'0000 | z;
buf[2] = '\0';
return;
}
// return U+FFFD in UTF-16
buf[0] = 0xFFFD;
buf[1] = '\0';
}
UTF-8 인코딩에서 구현했던 것처럼, 리턴값은 buf
매개변수로 전달합니다.
리턴값 마지막의 널 문자 \0
는 출력의 편의를 위해 붙였습니다.
반대로 UTF-16 인코딩 결과로부터 코드 포인트를 얻는 디코딩 함수는, UTF-8 디코딩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이는 직접 해보는 것으로 남겨두고 넘어가겠습니다.
UTF-16의 사용
UTF-16은 대표적으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와 같은 언어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하나의 코드 유닛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한글 문자는 length
값이 1
이 되는데요.
두 개의 코드 유닛이 필요한 이모지는 그 값이 2
가 됩니다.
"한".length; // === 1
"😂".length; // === 2
UTF-16 또한 UTF-8 처럼 코드 유닛의 개수가 곧 코드 포인트의 개수와 일치하지는 않게 됩니다.
즉 length
는 문자의 개수가 아니라 코드 유닛의 개수를 갖습니다.
UTF-8 과의 비교
한글 문자를 표현할 때 UTF-16과 UTF-8 중에 어느 것이 메모리에 더 효율적일까요?
한글 문자는 유니코드에서 U+AC00
부터 U+D7AF
까지의 코드 포인트에 할당되어 있는데요.
이는 코드 포인트 표현시 16비트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UTF-8은 16비트의 코드 포인트를 세 개의 코드 유닛, 즉 3바이트로 인코딩하는데요.
반면 UTF-16은 하나의 코드 유닛, 즉 2바이트로 인코딩합니다.
그러므로 한글 문자는 UTF-16이 더 메모리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물론 그 차이가 정말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다른 언어와 함께 사용할 때 어떨지는 다른 문제입니다.
UTF-32의 구현
UTF-32는 구현하기가 비교적 간단합니다.
유니코드의 모든 문자는 기껏해야 21비트의 코드 포인트를 가집니다. UTF-32는 코드유닛이 32비트이기 때문에, 코드 포인트의 이진 표현을 그대로 코드 유닛에 담아 인코딩할 수 있습니다.
이를 수도코드로 굳이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UTF-32 인코딩 (코드 포인트)
이는 C++로 다음과 같이 구현할 수 있습니다.
void encodeUtf32(const Codepoint cp, char32_t *buf) {
buf[0] = cp;
buf[1] = '\0';
}
반대로 코드 유닛을 받아 코드 포인트를 구하는 디코딩 함수는 직접 해보는 것으로 남겨두겠습니다.
여기까지 모든 코드는 디코딩 함수 구현을 포함해 지스트Gist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UTF-32의 사용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유니코드에서 코드 포인트는 기껏해야 21비트를 갖는데요. 따라서 32비트의 코드 유닛을 가지면 항상 11비트가 낭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UTF-32의 단점이라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장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코드 유닛의 개수가 곧 코드 포인트의 개수가 된다는 점인데요. 즉 UTF-32로 인코딩한 결과에서는 번째 코드 포인트에 바로 접근이 가능하게 됩니다.
그러면 번째 문자에 바로 접근이 가능할까요? 문자의 개수가 코드 유닛의 개수와 일치하지 않는 현상은 앞서 본 적이 있는데요. UTF-32 인코딩 또한 그렇습니다. 이전 글에서 봤던 노말라이즈normalize 문제처럼, 하나의 문자가 두 개의 코드 포인트로 표현될 수 있는 경우가 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UTF 인코딩과 유니코드를 알아보았습니다. UTF-16 인코딩에서는 서로게이트 블록의 역할이 중요했습니다. UTF-32 인코딩은 그저 21개의 비트를 그대로 32비트에 간단히 담는 것으로 구현했습니다.
바이트 오더
본문에서 생략한 주제로, 인코딩에서 바이트 오더byte order, 즉 엔디안endianness 문제가 있는데요. 사실 UTF-16 인코딩은 각 엔디안을 위한 UTF-16LE, UTF-16BE 인코딩이 따로 존재합니다. 아니면 바이트 오더 마크byte order mark, 즉 BOM 문자를 맨 앞에 둬서 바이트 순서를 나타내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 모든 얘기는 UTF-32 인코딩도 마찬가지고요. 따라서 실제로 UTF 인코딩을 처리하는 일은 이런 케이스를 고려할 필요가 있습니다.
레퍼런스
- Unicode Explained (Jukka Korpela,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