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글에서 간단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파서parser를 구현했습니다. 파서는 소스 코드를 문법적으로 해석한 결과로 추상 문법 트리abstract syntax tree를 만들어냅니다.
여기서는 이 트리를 받아 값으로 평가evaluate하는 이밸류에이터evaluator를 만들 것입니다. 이것으로 간단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위한 인터프리터interpreter가 완성됩니다. 즉 다음과 같은 코드를 실행시킬 수 있게 됩니다.
g = 98/10
y = t -> y0 -> g*t*t/2 + y0
y(10)(5)
이는 첫 글에서 목표로 했던 간단한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 코드입니다. 다시 말해, 위 문법을 따르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새로 만들어낸 것입니다.
위와 같은 코드를 평가하는 단계에서, 변수의 할당과 함수의 호출을 구현하게 되는데요.
이와 함께 클로저closure 또한 실제로 만들어볼 것입니다.
이를 통해 y(10)(5)
와 같은 함수의 커링currying을 지원할 수 있게 됩니다.
그럼 본격적으로 인터프리터를 완성해보겠습니다.
숫자 값 평가
숫자만 있는 코드를 실행해봅시다. 다음과 같이 아주 간단한 코드를 실행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1
그러면 입력한대로 숫자 값이 나오게끔 만들어야 합니다.
실제로 그런 값을 평가하기 전에, 내부적으로 쓸 값 클래스를 먼저 준비해봅시다. 다음 파이썬 코드처럼 만들 수 있습니다.
class Value:
def __init__(self, kind, value):
self.kind = kind
self.value = value
def __repr__(self):
return f"[Value: {self.kind}, {self.value}]"
이 클래스는 평가한 값의 타입을 내부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일종의 래퍼wrapper 클래스입니다.
여기서는 kind
값이 그 타입을 가질 것입니다.
물론 여기서 만들 프로그래밍 언어는 변수가 명시적인 타입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a+b
와 같은 코드가 실제로는 숫자끼리의 덧셈이 아닌 다른 동작을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는 이를 원치 않는 동작으로 볼 것입니다.
이를 파서가 문법적으로 확인하기보다는, 값을 평가하는 지금 시점에서 의미semantics적으로 파악할 것입니다.
이는 a+b
같은 덧셈을 평가할 때, 각 변수의 kind
값을 검사함으로써 ‘올바른’ 덧셈 외의 코드를 막을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곧 실제로 구현할 것입니다.
부가적으로, 스트링 표현을 위한 메소드 __repr__()
는 나중에 print()
로 확인할 용도로 만든 것입니다.
앞으로의 경우도 그렇습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사용할 것입니다.
Value("number", 1)
이번엔 노드를 값으로 평가하는 Evaluator
클래스를 만들 차례입니다.
class Evaluator:
def __init__(self, nodes: list[Node]):
self.nodes = nodes
def evaluate(self) -> Value:
return self.evaluateNode(self.nodes[0])
def evaluateNode(self, node) -> Value:
if node.kind == "number":
return Value("number", node.children[0])
raise Exception(f"bad node '{node.kind}'")
평가할 트리로 인스턴스가 만들어집니다. 하지만 일단 첫 노드만 평가하도록 간단히 만들었는데요. 이후 모든 노드로 확장할 것입니다.
이제 숫자 값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input = "1"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evaluate()
print(evaluated)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Value: number, 1]
변수 대입 평가
대입 연산을 평가하면 변수에 값을 대입하고, 평가 값은 그 대입한 값으로 만들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를 실행한다고 해봅시다.
a = 1
그러면 대입을 실행하고, 평가 값은 다음처럼 됩니다.
1
즉 연산 결과는 1
과 같이 되지만, 부수 효과side effect로서 a
와 같은 식별자는 변수가 되는데요.
이를 변수 바인딩variable binding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변수 바인딩은 소스 코드를 실행하는 도중에 일어납니다. 그래서 어떤 변수 이름이 어떤 값으로 존재하는지 관리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한 자료 구조를 인바이런먼트environment라고 부를 것입니다. 변수 대입을 구현하기 위해 이를 준비합시다.
인바이런먼트
인바이런먼트는 a = 1
같은 변수의 대입이 일어날 때 값을 기억합니다.
그리고 a + 2
처럼 변수 이름을 사용할 때 값을 돌려줍니다.
지금은 다음과 같이 평범한 해시 테이블hash table로 만듭시다.
변수를 설정하는 메소드 setVar()
와 변수 값을 가져오는 메소드 getVar()
로 구성합니다.
class Environment:
def __init__(self):
self.bindings = dict()
def getVar(self, name: str) -> Value | None:
if name in self.bindings:
return self.bindings[name]
return None
def setVar(self, name: str, value: Any) -> None:
self.bindings[name] = value
이제 변수 바인딩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
변수 대입 구현
이제 아까 만들었던 Evaluator
클래스에서 대입 연산을 구현해봅시다.
evaluate()
메소드가 인바이런먼트를 받도록, 그리고 모든 노드를 평가하도록 확장합니다.
def evaluate(self, env: Environment) -> Value:
lastEvaluated = Value("null", None)
for node in self.nodes:
lastEvaluated = self.evaluateNode(node, env)
return lastEvaluated
평가 결과는 마지막으로 평가한 표현식의 값이 됩니다.
노드를 평가하는 메소드 evaluateNode()
는 인바이런먼트를 받습니다.
그리고 식별자와 대입 연산을 평가하기 위해 조건문을 다음과 같이 추가합니다.
def evaluateNode(self, node: Node, env: Environment) -> Value:
if node.kind == "number":
return Value("number", node.children[0])
if node.kind == "identifier":
return self.evaluateIdentifier(node, env)
if node.kind == "infix":
return self.evaluateInfix(node, env)
# ...
식별자 평가를 구현하는 evaluateIdentifier()
메소드는 인바이런먼트에서 변수 값을 가져옵니다.
def evaluateIdentifier(self, node: Node, env: Environment) -> Value:
name = node.children[0]
value = env.getVar(name)
if value is None:
raise Exception(f"variable '{name}' not found")
return value
evaluateInfix()
메소드는 대입 연산을 평가하는 evaluateAssignment()
메소드를 부릅니다.
이 메소드는 인바이런먼트에 변수 값을 넣어둡니다.
def evaluateInfix(self, node: Node, env: Environment) -> Value:
infix = node.children[0]
left = node.children[1]
right = node.children[2]
if infix == "=":
return self.evaluateAssignment(left, right, env)
raise Exception(f"bad infix '{infix}'")
def evaluateAssignment(self, left: Node, right: Node, env: Environment) -> Value:
value = self.evaluateNode(right, env)
name = left.children[0]
env.setVar(name, value)
return value
이제 변수를 대입하고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이 때 인바이런먼트를 만들어 evaluate()
메소드에 넘겨줍니다.
input = "a=1 a+2"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evaluate(Environment())
print(evaluated)
실행 결과는 변수 a
의 값이 됩니다.
[Value: number, 3]
사칙 연산 평가
여기서 사칙 연산은 간단히 구현할 수 있는데요. 트리의 노드를 재귀적으로 방문해 값을 계산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대입 연산을 평가하는 부분에 사칙 연산의 경우를 추가합니다.
def evaluateInfix(self, node: Node, env: Environment) -> Value:
# ...
if infix == "=":
return self.evaluateAssignment(left, right, env)
if infix in "+-*/":
return self.evaluateArithmetic(infix, left, right, env)
# ...
실제로 사칙 연산을 수행하는 부분에서는 자식 노드를 재귀적으로 평가해 값을 가져옵니다. 그리고 계산 결과를 값 인스턴스로 만듭니다.
def evaluateArithmetic(self, infix: str, left: Node, right: Node, env: Environment) -> Value:
evalLeft = self.evaluateNode(left, env)
evalRight = self.evaluateNode(right, env)
if evalLeft.kind != "number":
raise Exception(f"bad left value '{evalLeft.kind}")
if evalRight.kind != "number":
raise Exception(f"bad right value '{evalRight.kind}")
if infix == "+":
return Value("number", evalLeft.value + evalRight.value)
if infix == "-":
return Value("number", evalLeft.value - evalRight.value)
if infix == "*":
return Value("number", evalLeft.value * evalRight.value)
if infix == "/":
return Value("number", evalLeft.value / evalRight.value)
raise Exception(f"bad infix '{infix}'")
이제 사칙 연산을 평가할 수 있게 됩니다.
input = "1+2*3/4-5"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evaluate(Environment())
print(evaluated)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Value: number, -2.5]
함수 정의 평가
이제 f = b -> a+b
와 같은 함수 정의 표현식을 평가할 차례입니다.
여기서 만드는 언어는 함수도 값이므로, 함수 값을 구현할 필요가 있는데요.
나중에 f(2)
와 같은 함수 호출이 이 함수 값을 사용할 것입니다.
즉 예시의 a+b
와 같은 함수 본문은 호출 시에 평가될 것입니다.
그리고 b
와 같은 함수의 매개변수parameter 또한, 함수 호출 시 2
와 같은 호출 인자argument의 값으로 바인딩시킬 것입니다.
여기서 매개변수와 인자를 구분해 부르고 있다는 점을 참고하세요.
한편 이후 구현할 클로저를 위해, 함수가 현재의 인바이런먼트를 기억해야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리하면 함수 값은 매개변수와 본문, 그리고 인바이런먼트를 가지도록 구현합니다.
class FunctionValue:
def __init__(self, param: Any, body: Node, env: Environment):
self.param = param
self.body = body
self.env = env
def __repr__(self):
return f"[Function: {self.param} -> ...]"
이번엔 Evaluator
클래스가 함수 정의를 함수 값으로 평가하도록 만들 차례입니다.
def evaluateInfix(self, node: Node, env: Environment) -> Value:
# ...
if infix in "+-*/":
return self.evaluateArithmetic(infix, left, right, env)
if infix == "->":
return self.evaluateFunction(left, right, env)
# ...
def evaluateFunction(self, left, right, env):
param = left.value
body = right
return Value("function", FunctionValue(param, body, env))
이제 인터프리터가 함수 정의에서 함수 값을 얻습니다.
input = "a->b"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evaluate(Environment())
print(evaluated)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Value: function, [Function: a -> ...]]
함수 호출 평가
함수 호출은 호출 인자로 넘긴 값으로 새로운 인바이런먼트를 만들고, 함수 호출이 끝나면 버릴 것입니다. 즉 새로운 스코프scope를 만든다고 할 수 있는데요. 여기서 만드는 언어는 함수 단위로 스코프가 생깁니다.
그러면 기존의 Environment
클래스를 고쳐서, 기존 인바이런먼트를 확장할 수 있도록 만들어봅시다.
이런 확장은 인바이런먼트의 단방향 링크드 리스트singly linked list를 만들 것입니다.
def __init__(self, super = None):
self.super = super
self.bindings = dict()
def getVar(self, name: str):
if name in self.bindings:
# ...
if self.super is not None:
return self.super.getVar(name)
# ...
즉 getVar()
메소드는 현재 인바이런먼트에서 값을 찾고, 없으면 상위 인바이런먼트에서 시도합니다.
이는 재귀적으로 호출되어 맨 위에 있는 인바이런먼트까지 탐색합니다.
그러면 이를 이용해 함수 호출 평가를 구현해봅시다.
def evaluateNode(self, node: Node, env: Environment) -> Value:
# ...
if node.kind == "identifier":
return self.evaluateIdentifier(node, env)
if node.kind == "call":
return self.evaluateCall(node, env)
raise Exception(f"bad node '{node.kind}'")
실제로 평가를 맡는 메소드 evaluateCall()
은 기존 인바이런먼트에서 함수 매개변수의 바인딩을 추가한 새 인바이런먼트를 만듭니다.
즉 ‘그림 3’에서 보았던 것처럼, b
를 매개변수로 갖는 함수를 f(2)
로 호출하면, 변수 b
에 호출 인자 2
를 바인딩한 인바이런먼트를 새로 만들고, 기존의 것을 상위 인바이런먼트로 가집니다.
함수 호출은 이렇게 만든 인바이런먼트를 바탕으로 함수 본문을 평가하도록 구현합니다.
def evaluateCall(self, node: Node, env: Environment) -> Value:
func = self.evaluateNode(node.children[0], env)
arg = self.evaluateNode(node.children[1], env)
funcEnv = func.value.env
funcParam = func.value.param
funcBody = func.value.body
extendedEnv = Environment(funcEnv)
extendedEnv.setVar(funcParam, arg)
value = self.evaluateNode(funcBody, extendedEnv)
return value
이제 인터프리터는 함수 호출을 할 수 있게 됩니다.
input = "f = a -> a+1 f(2)"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evaluate(Environment())
print(evaluated)
결과는 1+2
의 값이 됩니다.
[Value: number, 3]
변수 섀도잉
위에서 구현한 대로, 식별자를 평가할 때 변수 값을 찾기 위해 먼저 현재 인바이런먼트에서 찾아보고, 없으면 상위 인바이런먼트에서 찾아봅니다.
그런데 동일한 식별자가 여러 레벨의 인바이런먼트에 걸쳐 존재할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가 그렇습니다.
a = 1
f = a -> a+1
여기서 함수 f
의 매개변수 a
와 기존에 만든 변수 a
는 이름은 같지만 다른 변수로 만들어집니다.
즉 함수의 매개변수 a
가 기존의 변수 a
를 ‘가린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요.
이는 변수 섀도잉variable shadowing이라고 불립니다.
정리하면 변수 섀도잉은 변수 값을 인바이런먼트에서 찾는 방식, 즉 상위보다 현재의 인바이런먼트에서 먼저 찾는 순서로 인해 생긴 부수 효과로 볼 수 있습니다.
커링
자연스럽게 커링도 구현되었습니다. 즉 다음과 같은 코드를 사용할 수 있는데요.
f = a -> b -> a+b
f(1)(2)
입력 코드의 함수 정의는 사실상 두 개의 함수를 정의한 것이고, 따라서 호출 또한 두 번 이루어진 것입니다.
하지만 f
를 마치 두 개의 매개변수를 쓰는 함수로, 호출 시 두 개의 인자를 넘긴 것처럼 다룰 수 있습니다.
이런 함수를 커리된 함수curried function라고 부릅니다.
실제로 다음처럼 실행할 수 있습니다.
input = "f = a -> b -> a+b f(1)(2)"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evaluate(Environment())
print(evaluated)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Value: number, 3]
이런 커링의 구현은 다음에 소개할 클로저 덕분에 가능한 것입니다.
클로저
커링의 예시에서 실행했던 코드를 다음과 같이 다르게 표현해볼 수 있는데요.
f = a -> b -> a+b
g = f(1)
g(2)
원래의 예시에서 함수 호출 f(1)(2)
대신 변수 g
를 사용해 두 부분으로 나눈 것입니다.
함수 정의 표현식 a -> b -> a+b
은 호출 시 함수를 만들어줍니다.
즉 매개변수 a
로 새 함수 b -> a+b
를 만드는데요.
따라서 변수 g
에는 f(1)
를 평가한 값, 즉 함수 값이 대입됩니다.
이 값은 본문이 b -> a+b
이고, a
는 1
로 바인딩된 인바이런먼트를 가집니다.
이렇게 함수의 인바이런먼트에 함수 본문 바깥의 변수 a
를 담을 수 있습니다.
이런 함수를 클로저라고 부릅니다.
여기서 이 변수는 함수 외부에서 접근할 방법이 없게 됩니다.
따라서 이 함수가 일종의 프라이빗private 변수를 가졌다고 볼 수 있는데요.
클로저가 변수 a
를 캡처capture했다고도 표현합니다.
이제 함수 호출 g(2)
가 함수 본문 a+b
를 평가할 때, 변수 a
의 값은 클로저의 인바이런먼트에서 1
을, 변수 b
는 호출 인자로 넘긴 값에서 2
를 가져오게 됩니다.
실제로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 있습니다.
input = "f = a -> b -> a+b g = f(1) g(2)"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evaluate(Environment())
print(evaluated)
결과는 커링의 예시와 똑같습니다.
[Value: number, 3]
REPL 만들기
여기까지 인터프리터는 사실상 완성되었습니다. 이를 이용해 REPL을 만들 수 있는데요. REPL이란 Read-Evaluate-Print Loop으로, 코드를 그때그때 입력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파이썬Python을 비롯한 많은 인터프리터에서 지원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REPL에서는 만들어둔 변수를 앞으로도 계속 쓸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REPL 인스턴스가 다음과 같이 인바이런먼트와 함께 초기화 되도록 만듭니다.
class Repl:
def __init__(self):
self.env = Environment()
def execute(self, input: str) -> Any:
tokens = Tokenizer(input).getTokens()
nodes = Parser(tokens).parse()
evaluated = Evaluator(nodes, self.env).evaluate()
return evaluated.value
execute()
메소드는 입력받은 코드 input
을 실행합니다.
첫 글에서 인터프리터의 수도코드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는데요.
이 메소드는 그 수도코드의 구현이기도 합니다.
인터프리터 (코드)
토큰 토큰화(코드)
문법 트리 파싱(토큰)
값 평가(문법 트리)
리턴 값이제 REPL의 실행은 다음과 같이 구현합니다.
quit
을 입력하면 종료를, 아니면 코드를 실행합니다.
def run(self) -> None:
print("to quit, type 'quit'")
repl = Repl()
while True:
try:
print("> ", end="", flush=True)
line = stdin.readline().strip()
if line == "quit":
print("bye")
break
print(self.execute(line))
except Exception as e:
print(e)
이 REPL 클래스는 다음과 같이 사용합니다.
repl = Repl()
repl.run()
그러면 첫 글에서 목표로 했던 코드를 이제 실행할 수 있게 됩니다.
to quit, type 'quit'
> g = 98/10
9.8
> y = t -> y0 -> g*t*t/2 + y0
[Function: t -> ...]
> y(10)(5)
495.0
> quit
bye
이렇게 간단한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가 완성되었습니다.
마치며
여기까지 소스 코드를 토큰화tokenize하는 것부터 시작해, 파서와 이밸류에이터를 구현해 인터프리터를 만들었습니다. 간단한 사칙 연산과 함수 호출만 구현할 수 있을 정도의 간단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만들었는데요. 조건문이나 반복문과 같은 기능도 이와 같이 추가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 클로저의 구현이 간단했던 이유는, 구현을 위해 사용한 언어 파이썬에 이미 가비지 콜렉션garbage collection이 구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즉 클로저가 인바이런먼트를 새로 만들어 낼 때, 나중에 이를 해제release하는 메모리 관리가 따로 없었습니다. 이것은 인터프리터의 구현을 쉽게 하기 위해 파이썬을 선택한 이유이기도 합니다.
본문에서 변수 바인딩의 간단한 구현으로 인바이런먼트를 만들었는데요. 이것은 다른 인터프리터도 사용하는 자료구조이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자바스크립트JavaScript의 렉시컬 인바이런먼트lexical environment가 이런 변수 바인딩의 구현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클로저가 구현되어 있기도 합니다.
여기까지 생략된 부분을 포함한 코드는 지스트Gist에서 볼 수 있습니다.
레퍼런스
-
Writing An Interpreter In Go (Thorsten Ball, 2020), 또는 밑바닥부터 만드는 인터프리터 in Go (2021)
-
Learn You a Haskell for Great Good! (Miran Lipovaca, 2011), 또는 가장 쉬운 하스켈 책 (2014):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봄으로써 커링과 클로저같은 개념을 접해볼 수 있습니다. 이 책은 그런 대표적인 언어 중 하나인 하스켈Haskell을 소개합니다.